SQL 기초 개념부터 데이터 조회까지: 시작하기
SQL과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부터 간단한 쿼리 작성법
1. SQL이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는 언어입니다.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SQL의 주요 목적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2.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란 쉽게 말해 ‘데이터가 저장된 큰 폴더’와 같습니다. 다양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SQL 기반, 예: MySQL, PostgreSQL)과 비관계형(NoSQL, 예: MongoDB)으로 나뉩니다. 이 글에서는 SQL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초점을 맞춰 설명할 것입니다.
3. 테이블과 컬럼이란?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테이블은 우리가 흔히 아는 엑셀 파일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여러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테이블 안의 각 열은 컬럼(또는 필드)이라고 불리며, 컬럼에는 이름, 나이, 주소 등 특정한 데이터 속성이 저장됩니다.
4. SQL 데이터 조회하기 (SELECT와 FROM)
SQL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키워드는 SELECT와 FROM입니다.
- SELECT: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본 명령어로, 조회할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 FROM: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모든 컬럼을 의미하지만, 필요한 컬럼만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필요한 항목만 뽑아서 사용하기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고려할 때, *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기보다는 필요한 컬럼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를 사용하면 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6. 컬럼에 별명(Alias) 설정하기
컬럼 이름이 너무 길거나, 읽기 편하게 만들고 싶다면 별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방법:
- 컬럼명 AS 별명
- 컬럼명 별명 (특수문자나 한글을 별명으로 사용할 때는 큰 따옴표를 사용)
7. 조건에 맞는 데이터로 필터링하기 (WHERE)
SQL에서는 WHERE 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데이터 중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을 사용하여 조건을 설정하며, 문자열을 필터링할 때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합니다.